지난 시간에는 북유럽 신화에서 인간의 탄생과 북유럽 신화를 구성하는 아홉 세계를 살펴봤습니다.오늘은 이들이 대중문화에 남아있는 부분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^^
스바르트알프하임은 2~3화에 걸쳐진 로키가 가져온 보물들 편에서, 니플하임과 무스펠하임은 4화 북유럽신화 세계의 창조 편에서 살펴본 바 있으니 이번에는 넘어가고 나머지 세계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^^
지난 연재
05. 북유럽 신화와 우리 옛 이야기의 유사성(1) : 해와 달 이야기
06. 북유럽 신화와 우리 옛 이야기의 유사성(2) : 맷돌 이야기
07. 아제 신들과 바네 신들의 전쟁(1) : 황금열망 굴바이크
08. 아제 신들과 바네 신들의 전쟁(2) : 신들의 다툼과 그 결말
아스가르트와 비프뢰스트
가장 대표적으로 대중문화에 소개 된 부분은 마블 코믹스의 토르 시리즈에서 등장하는 외계인들의 세계 아스가르드가 되겠습니다. 마블 코믹스에서는 다양한 히어로들 사이에서 뜬금없이 신이라는 개념을 녹여내기 위해서 마법이 일종의 과학이고, 이 과학이 극도로 발달한 먼 우주에 사는 외계인들로 아스가르드인을 설정했습니다. 때문에 신화를 블록버스터 판타지 만화에 그대로 옮겨올 수 있었죠.
영화 토르, 어벤져스, 토르2 등에서 자주 등장하는 비프뢰스트(영화에서는 영어식으로 바이프로스트 라고 발음합니다.)는 아홉왕국을 연결하는 웜홀 발생장치로 설정되었죠. 아스가르드의 파수꾼 하임달의 칼을 열쇠 삼아 작동하는 이 장치로 아스가르드 인들은 자유롭게 우주 여기저기를 여행할 수 있습니다. 신화의 설정을 만화에 맞게 잘 녹여냈다는 생각이 들죠?
사진출처 : 아스가르드 공식홈페이지http://asgard.nexon.com/
또한 아스가르드는 넥슨의 북유럽신화를 배경으로 설정한 RPG게임 아스가르드에도 영향을 주었고, 비프뢰스트는 소프트맥스의 게임 창세기전에 등장하는 국가 중 하나인 비프로스트 공국의 이름에도 영향을 주었습니다.
바나하임과 요툰하임
사진출처 : http://marvelcinematicuniverse.wikia.com/wiki/Vanaheim?file=Vanaheim.jpg
아제신들과의 싸움에서 진 이후로 점점 잊혀져버린 바네 신들의 세계인 바나하임이 가장 부각된 대중문화는 역시 토르 시리즈입니다. 토르의 친구 중 하나인 호건(Hogun)의 고향 왕국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토르 : 다크월드 에서 주된 전투장면 중 하나로 등장하는 공간입니다.
거인들의 공간인 요툰하임은 은하영웅전설의 제국군의 등장인물 칼 구스타프 켐프의 기함으로도 등장한 바 있습니다. (은하영웅전설의 제국군의 인명, 지명, 기함명 등은 북유럽 신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.)
사진출처 : http://bluegazer.egloos.com/2550310
알프하임과 헬
판타지 소설에 자주 등장하는 엘프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알프들의 세계인 알프하임은 아스가르드 근처에 위치하고 있습니다. 이 세계가 가장 유명하게 차용된 부분은 라이트노벨 <소드 아트 온라인> 2부에 해당하는 3,4권에 등장하는 알브하임 온라인 입니다. 소드 아트 온라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관련 엔하위키 미러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^^
엔하위키 미러 : 소드 아트 온라인
http://mirror.enha.kr/wiki/%EC%86%8C%EB%93%9C%20%EC%95%84%ED%8A%B8%20%EC%98%A8%EB%9D%BC%EC%9D%B8
헬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불타는 지옥의 이미지와는 다르게 북유럽 신화에서는 차디찬 세계 니플하임에 위치한 것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. 때문에 꽁꽁 언 세상으로 그려지죠.
LOL과 비슷한 장르의 MOBA 게임인 SMITE에서는 다양한 신화의 신들이 캐릭터로 등장하는데 그 중 하나로 헬이 등장합니다. 후에 로키의 불길한 세 자식들을 다루면서 자세히 다룰 헬은 한 쪽은 아주 아름다운 여인의 모습을, 다른 한 쪽은 매우 추악한 모습을 하고 있어서 낳자마자 오딘에 의해서 머나먼 니플하임으로 던져졌다고 하는데요 그런 캐릭터를 잘 살려서 밝은 모습의 헬과 어두운 모습의 헬을 번갈아 가면서 플레이 할 수 있고 각 모습 때마다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다르기 때문에 플레이에 적절히 활용이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네요.
게임 스마이트의 공식 홈페이지도 링크해드리겠습니다 ^^
http://www.hirezstudios.com/smitegame/home
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북유럽신화의 아홉 세계를 다뤄보았는데요, 다음 주 부터는 이 아홉 세계를 관통하는 생명수 이그드라실, 이그드라실의 뿌리가 닿아있는 세 개의 샘, 그리고 이그드라실을 관리하는 운명의 세 여신들의 이야기를 다뤄볼까 합니다. 다음주에 만나요~
<대중문화 속 북유럽 신화>는 매주 월요일 연재됩니다 >ㅁ<
모바일에서는 네이버 포스트로 더 편하게 구독하실 수 있습니다.
http://m.post.naver.com/mimisbrunnr
참고문헌
안인희, 2011, 안인희의 북유럽 신화 1~3, 웅진지식하우스.
강응천, 1998, 바이킹 전사들의 북유럽 신화여행, 마루(금오문화).
http://mirror.enha.kr/wiki/%EC%95%84%EC%8A%A4%EA%B0%80%EB%A5%B4%EB%93%9C
http://marvelcinematicuniverse.wikia.com/wiki/Vanaheim?file=Vanaheim.jpg
http://smite.gamepedia.com/Hel
본 포스트에 사용된 삽화 중 별도 표기한 삽화를 제외한 모든 삽화의 출처는 위키백과이며, 모든 저작권은 위키백과에 있습니다.